국가는 인구로 유지된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하루가 다르게 인구가 준다면, 그 지역은 존립이 문제가 될 수가 있다. 인구가 점차로 줄어, 그 지역이 소멸한다는 통계를 낸다면, 그 지역은 이 탓에 인구가 더욱 줄 것이다. 이건 이곳으로 가면, 경제활동을 할 수 없다는 인식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구미시는 한국에서 가장 먼저 세운 공단지역으로 한국의 산업화에 크게 기여했다. 이곳에 인구가 준다는 것은 다른 지역보다, 더 어려운 곳이 된다.
통계청의 ‘2024년 사회조사’와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0∼29세 중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응답은 전체의 42.8%였다. 2014년 30.3%가 긍정적인 답변을 한 것과 비교하면, 10년 새 12.5%포인트(p) 증가했다. 약간 동의한다는 응답은 2014년 24.6%에서, 올해 28.6%로 소폭 증가했지만,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응답은 5.7%에서 14.2%로 3배 가까이 늘었다. 젊은이들의 결혼·출생관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는 증거로 봐야겠다. 이에 따른 당국의 인구증가 정책도 바꿔야한다.
지난 12일 통계청의 ‘2024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결혼해야 한다고 답한 비중은 52.5%이었다. 2년 전 조사보다 2.5%포인트(p) 상승했다. 2014년(56.8%) 이후로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였다. ‘결혼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가 41.5%, ‘하지 말아야 한다’가 3.3%였다. 국민의 절반 가까이인, 44.8%가 결혼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했다. 위의 통계와 비교하면, 결혼·출생에 관해선, 고민하는 흔적이 뚜렷하다. 지난 10월 경북도에 따르면, 저출생 대책으로 시·군 수요에 맞춰, 임대주택을 공급했다. 인구 8만 이하 시·군에 우선으로 ‘신축약정형 매입임대주택’을 보급했다.
구미시에 따르면, 최근 청년이 모이고 혼인 건수가 반등했다. 출생아 수가 지난해에 비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저출생 반전 추세의 긍정 신호다. 구미의 경우, 주 결혼 연령인 30대 초반(30~34세) 인구가 2020년 8월 3만 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2023년 2월 2만 8,276명으로 최저점을 찍었다. 하지만 최근 6개월 간 2만 8,700여 명대까지 회복해, 500명가량 증가했다.
올해(1~10월) 누적 혼인건수는 1,443건이었다.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0%가까이 늘었다. 전국(19.2%)·경북(11.7%) 평균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지역 청년이 정착해, 결혼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반증이다. 혼인 증가에 따라 출생아 수 또한 자연스럽게 늘어났다. 작년 구미시 출생아 수는 1,892명이었다.
지난 7월부터 3개월 연속 증가하는 추세였다. 올해 예상되는 출생아 수는 보건소 등록 임산부 중 연말까지 출산 예정자 등을 고려할 때, 총 2,000명 이상을 돌파해, 전년에 비해, 8% 이상 증가 할 것이다.
이런 성과의 배경에는 구미시의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에 집중한 결과다. 지난 2월 경북 22개 시·군 중 처음으로 ‘구미형 저출생 대책 TF단’을 신설했다. 이어 7월에는 ‘미래교육돌봄국’으로 확대 개편했다. 구미시가 저출생 대책 마련에 모든 역량을 집중한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증거다.
미혼남녀 커플매칭 프로젝트 ‘두근두근~ing’는 결혼 적령기 미혼남녀의 자유로운 만남을 촉진했다.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개선했다. 건강한 가족 형성을 위해 기획된 구미의 대표 사업으로 주목받았다. 올해로 7년 차에 접어들며, 혼인 증가를 위한 주요 프로젝트로 자리매김했다. 그동안 총 13번 행사로 130쌍의 커플이 탄생했다. 현재까지 19쌍이 결혼했다. 2025년까지 3쌍의 커플이 추가로 부부의 연을 맺는다.
김장호 구미 시장은 결혼과 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켰다. 구미시의 결혼과 출산의 정책이 제자리로 가고 있다. 구미시는 지금까지의 정책을 더욱 다듬어, 젊은이들이 결혼하고 출산해야겠다는 인식이 구미사회에 널리 퍼지는 정책으로, 사회 분위기를 바꾸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