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농촌의 가장 큰 문제는 고령화다. 인구 감소에도 그 원인이 있으나, 산업화와 공업화 이후부터였다. 산업과 공업이 우리들에게 준 것은 부의 창출이었다. 부의 창출은 우리들의 소중한 가치인 고른 삶과 이웃을 뺏어갔다. 그 대신에 준 것은 빈부격차였다. 산업과 공업은 기후위기도 줬다. 이젠 기후위기서, 기후가 재난이 되는 시대가 됐다. 기후재난은 물가까지 오르게 했다. 기후변화로 농작물 생산이 감소해, 먹을거리 물가가 오르는 이른바 ‘기후플레이션’(클라이밋플레이션·climateflation)신조어가 새로 생겼다.
2024년 11월 한국은행·금융감독원·기상청의 ‘기후변화 리스크(위험)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 위험은 탄소가격 상승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산업의 생산 비용이 증가했다. 태풍 등 자연재해 빈도·규모 확대 등으로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2024년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기후변화 대응 농산물 수급안정 방안’ 토론회에 따르면,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농업생산 여건이 악화됐다. 먹을거리 물가가 상승해, 수급불안이 가중됐다.
2024년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 통계’에 따르면, 경북은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이 26.04%를 차지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전남(27.20%)에 이어 전국 두 번째였다. 의성군은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47.48%이었다. 전국 226개 시·군·구 중 가장 높았다. 대구 군위군이 47.32%로 뒤를 이었다. 청도군도 44.27%를 기록해, 상위권에 올랐다. 농촌은 기후재난과 고령화로 신음하고 있는 추세다.
구미시에 따르면, 농촌사업에 올해는 전년에 비해 11.6% 증가한 1,668억 원의 역대 최대 규모 예산을 투입한다. 다양한 농업 지원 시책을 추진한다. 구미시는 청년 농업인 육성을 위해, aT농수산식품유통교육원과 협력해 맞춤형 집합교육을 실시한다. ‘2030 청년농업인 1,000명 육성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농업 창업 자금과 정착을 지원한다. 스마트 농업 기술을 교육한다. 유통망을 구축하고, 브랜드화를 추진한다. 주거 환경 등을 개선한다.
신규 사업으로는 청년농부 컨설팅(2천만 원), 맞춤형 창업 지원(2억 원), 영농정착 시설 지원(2억 원) 등 16억 원 규모 사업비를 투입해, 미래 농업 인력 육성에 주력한다. 농촌 초고령화와 저출생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보육 여건을 개선한다.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2025년 농촌형 보육서비스 지원 공모 사업’에 3개 소가 선정돼 추진 중이다.
농번기 주말 동안 아이돌봄방(2세~초4년)을 운영한다. 외국인 계절 근로사업도 2024년 46명에서 2025년 115명으로 증원해, 계절 근로자를 위한 지원 사업을 확대한다. 이건 인력난 해소에 기여할 게다. 구미시는 2025년부터 논 쌀의 공급 과잉 문제를 해결한다. 수급 조절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시행한다.
전제 벼 농가를 대상으로 감축 목표 면적은 2024년 통계청 발표에 따른 벼 재배 면적 6,981ha 중 약 12%인 796ha다. 벼 재배 면적 감축을 위해, 구미시는 논의 타 작물 전환에 2억 9,000만 원, 전략작물 직불제에 16억 5,400만 원을 투입한다. 전략작물 직불제는 하계 조사료와 밀의 지급 단가를 각각 ha당 500만 원(증 70만 원), 100만 원(증 50만 원)인상해 농가 참여를 유도한다.
대체 과수품목 육성(3억 5000만 원), 스마트 팜 ICT 융복합 확산(1억 7,600만 원), 과수 고품질 시설 현대화(1억 1,300만 원) 등으로 농업 시설을 현대화한다. 기후변화에 대응해, 스마트 농업 기술 확산에도 힘을 쏟는다.
기후변화는 구미시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 세계가 나서, 해결해야한다. 기후재난은 모든 생명체의 생존이 달렸다. 기후변화로 개화시기가 오락가락하면, 농식품의 생산에 큰 타격을 준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인다. 지속가능성은 이젠 고령화가 해결됐다고 해도, 기후재난을 해결하지 못하면, 모든 것이 허사로 돌아가는 것을 명심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