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대구시립중앙도서관 살리자’ 존치여론 무시, 역사 지우기다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9.03.10 18:30 수정 2019.03.10 18:30

대구시립중앙도서관(이하 도서관)은 한민족의 아픔을 함께한 유구한 역사를 지닌, 역사적인 도서관이다. 3·1만세독립운동의 함성이 터질 때인, 1919년 7월 개관했다. 1949년 6월 대구시 청사가 소실되자, 청사로 양도했다. 휴관의 아픔을 견뎠다. 1955년 10월 다시 개관했다. 대구시민들을 직접 찾아가는 이동문고를 운영했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분야별 개가제(開架制) 열람제도를 도입했다. 도서관은 한국도서관사와 동궤의 역사를 가진, 한국에서부터 대구시를 대표하는 유서 깊은 도서관이다. 이 같은 역사는 두고, 신채호 선생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일갈(一喝)했다. 역사적인 도서관은 시민들의 민주적인 교양과 소량을 쌓고, 나아가 시민들의 미래까지를 짚어내는 곳이 바로 도서관이다.
지난 1월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을 발표했다. 2017년 말 현재 1천42개인 공공도서관 수를 2023년까지 1천468개로 늘린다. 작은 도서관 수도 같은 기간 6천58개에서 6천820개로 확대한다. 국민 1인당 장서 수도 2.03권에서 2.5권으로 늘린다. 도서관의 역할로 볼 때에, 역사가 깊은 도서관이 많을수록, 도서관 선진국의 지표가 된다.
대구시가 시민들의 여론에 귀 막고, 지금까지 아무 탈 없이 역할에 충실했던 도서관의 역할을 뺏는 횡포를 저지려고 하고 있다. 선출직 공직자의 최대의 미덕은 여론의 존중이다. 또한 선출직 공직자가 자기 당대에 업적 쌓기를 위해, 무엇을 한다는 오해를 받을 때도, 여론의 질타는 마찬가지이다.
지난 7일 대구시의회 강성환 시의원(달성군)은 대구지역 9개 시립도서관 종사자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중앙도서관을 존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여기서 도서관 종사자란, 도서관 전문직인 대부분 사서(司書)들로 짐작한다.
강성환 의원은, 대구시가 남구 캠프워커 헬기장 반환 부지에 2021년 7월 개관 예정인, ‘대구대표도서관’설립을 추진하면서 시민의견 수렴이나 공청회 등 사전 공감대가 전혀 형성되지 않은 채, 총 사업비 189억 원을 들여, 중앙도서관을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아카이브’(archive)관으로 변경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이에 대한 시립도서관 종사자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직접 설문조사를 실시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여기서도 배경은 여론이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앙도서관 존치였다. 별도 부지에 아카이브관을 설치하자는 응답이 78.9%, 중앙도서관을 존치하고 아카이브 기능을 일부 수용하자는 응답이 15.0%이었다. 중앙도서관을 국채보상운동 아카이브관으로 변경하는 것에 93.9%가 반대했다. 93.9%는 선출직 공직자가 경청해야 할 대목이다. 남구에 신설되는 대표도서관과 별개로 현재 중앙도서관 규모를 유지하자는 응답이 94.3%, 대표도서관이 신설되므로 현재 중앙도서관 규모를 대폭 축소하자는 응답은 3.5%에 불과했다. ‘역사를 지우지 말라’는 것으로, 결과는 끝났다. 기타 의견으로 남구의 대표도서관은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현재 중앙도서관과 별개로 운영돼야 한다. 중앙도서관은 그대로 도서관 기능을 유지해야 한다. 국채보상운동 기록물도 중요하나, 시민들의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서 중앙도서관 기능을 그대로 존치해야한다. 아카이브관을 별도부지에 조성하고, 중앙도서관을 존치해, 현재의 도서관 기능을 유지해달라는 의견이 많았다.
중앙도서관은 연간 160만여 명, 1일 평균 5천여 명이 이용하는 명실상부 대구 지역의 대표 도서관이다. 대구시의 대표적인 선출직 공직자는 이 같은 여론에 귀를 막으면, 보여주기에만 예산을 거덜 내고, 시민들의 빈축의 대상으로 전락한다. 대구시립중앙도서관에 예산을 확충하고, 유능한 사서 인력도 보충하여, 100년 역사에서, 다시 100년을 내다보는 도서관이 되도록 할 책무는 대구시장이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