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경주, 무장애도시 조성 본격화 '행복도시 구현'

김경태 기자 입력 2024.12.19 12:03 수정 2024.12.19 12:33

5개년 계획 수립, 3개 분야·30개 사업 추진

↑↑ 경주시가 무장애도시 조성을 목표로 5개년 계획을 수립한 가운데, 이 사업의 일환으로 새단장을 마친 황성동 행정복지센터 장애인 주차장 모습<경주시 제공>

경주시가 시민 모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무장애도시 조성을 목표로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본격 추진에 나선다.

시는 지난 7월 ‘경주시 무장애도시 조례’를 제정하고, 내년 초부터 연구용역을 시작으로 3개 분야, 15개 부서, 30개 사업을 추진 할 계획이다.

무장애도시 조성 사업의 핵심은 △시설물 접근성 및 이용 편의 강화 △원활한 이동을 위한 생활기반 구축 △평등한 사회참여를 위한 인식 개선 등 세 가지 분야로 나눠진다.

세부 사업으로는 △도로 단차 및 경사도 개선 △점자유도블록과 음향신호기 설치 △저상버스 지원 △보행로 및 장애인 주차구역 정비 △인식개선 캠페인 등이 포함된다.

특히 기존 건축물 중 편의증진 보장법 제정 이전에 건설된 시설물에 대해서는 개선 작업에 집중 할 계획이다.

시는 이미 2000만 원 사업비를 들여 황성동 행정복지센터 등 8개 공공건물 15곳의 장애인 주차장을 재도색하고 안내판 10개를 개선했다.

이를 통해 장애인 주차 편의를 높이고 불법 주차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다.

내년에도 추가 정비를 통해 장애인, 유모차 사용자, 휠체어 이용자 등 모두가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갈 방침이다.

경주시는 공공시설 개선을 시작으로 점차 민간 분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주낙영 시장은 “모두가 차별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 도시 환경을 실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경주를 방문하는 모든 이가 자유롭고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는 무장애 관광지로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