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김학홍 행정부지사, ‘저출생 극복 전문가 실무그룹’전체 회의

황보문옥 기자 입력 2025.04.22 14:39 수정 2025.04.22 15:28

일자리·돌봄, 주거·기반, 돌봄 로봇·산업
전문가들 분야별 저출생 극복 정책 발굴

↑↑ 저출생 극복 전문가 워킹그룹 전체회의 모습.<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22일 도청에서 김학홍 행정부지사, 분야별 저출생 전문가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저출생 극복 전문가 실무그룹’전체 회의를 개최했다.

저출생 극복 전문가 실무그룹은 ▲일자리·돌봄 분과 ▲주거·기반 분과 ▲돌봄 로봇·산업 분과 등으로 구성되며 국책 및 지역 연구기관, 공공기관, 대학, 저출생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전문가 실무그룹은 저출생 극복 핵심 사업 발굴과 저출생과 전쟁 시즌2 저출생 대전환 구상에 담긴 실행 과제들을 구체화하고 저출생 위기 체계적 대응 방안 등 저출생 극복 분야 전반을 다룬다.

또한, 2025년 APEC 정상회의 핵심의제인 인구구조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발굴을 지원한다.

전체 회의에서는 저출생 극복을 위해 필요한 일자리, 주거 등 저출생 도민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경북도 기본 구상 발표와 함께 돌봄 일자리 업그레이드, 지역에 머무는 여성을 위한 경제·사회 참여 기회 확대, 청년·신혼 부부 임대 및 내 집 마련 지원, 아이·가족 중심 여가문화 기반 확충 등이 논의됐다.

이어진 분과별 회의에서는 부처별 돌봄 사업 간 연계성 강화,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 방지를 위한 맞춤형 단기 일자리 매칭 방안, 돌봄을 산업 생태계로 육성해 일자리 창출과 기업 투자로 연결하는 방안, 결혼·출산·육아 패키지 규제 프리존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경북도는 전문가들이 발굴한 정책을 기반으로 지역에 머무는 청년과 임신·출산을 원하는 부모들을 지원하는 등 지역에서 일자리를 갖고 결혼과 출산까지 이어지는 생애 주기별 도민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내년 예산에 반영해 시범적으로 우선 시행할 계획이다.

회의에 참석한 이재희 육아정책연구소 팀장은 “이번 대응안은 ‘만남-결혼-출생-돌봄’이라는 생애 전 과정을 고려해, 일자리·주거·돌봄·문화·지역 전략 등 다양한 정책을 유기적으로 통합한 구조적 해법을 제시했다”며 “단순한 출산 장려를 넘어, 청년과 가족이 지역에 정착하고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려는 실질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저출생 등 인구구조변화는 2025년 APEC 정상회의 핵심의제로 선정될 만큼 전 세계적으로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다”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저출생 극복에 꼭 필요한 정책을 만들어 경북 현장에서 먼저 시행하고 전국으로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