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왼쪽부터 이인선·권영진 국회의원. |
|
국힘 대구시당위원장 선출이 국회의원 선수와 나이순으로 합의 추대하는 관례를 깨고 사상 처음으로 경선으로 치러진다.
이인선 국힘 의원(대구 수성구을)과 권영진 국힘 국회의원(대구 달서구병)이 지난 9일 나란히 후보 등록을 마치면서 차기 위원장은 이달 말쯤 대의원이 참여하는 투표로 가려질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당위원장직에 도전하는 권 의원과 이 의원 모두 재선이다. 다만 나이는 1959년생인 이 의원이 권 의원보다 3살 많다.
이달 초 이들 2명 의원을 제외한 대구지역 국회의원은 차기 대구시당위원장 선출 문제를 논의한 끝에 관례대로 이 의원을 추대하는 것이 맞다고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를 두고 권 의원은 "자유롭게 경쟁하는 분위기가 돼야 한다"고 시당 위원장에 도전장을 냈다.
실제 이날 권 의원은 대구 수성구 범어동 국힘 대구시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수가 밀실에 모여 '형님 먼저 아우 다음' 하는 식의 낡은 관행을 버리고, 당의 주인인 당원들이 권리를 인정하고, 당원의 선택에 맡기는 혁신의 길을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간 국회의원 선수와 나이순으로 위원장을 합의 추대해 왔던 관례를 비판한 것이다.
권 의원은 또 “우공이산의 각오로 대구시당부터 혁신하겠다.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 조기 대선의 패배로 하루아침에 야도가 됐고, 행정 수장인 대구시장마저 장기간 공석"이라며 "보수의 심장에 걸맞은 대구 정치의 부활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권 의원은 당 혁신 방안으로 △대구시-국회의원 간 정책예산협의회 정례화 △주요 현안별 태스크포스(TF) 운영 △대선 백서 발간 △당원 원탁회의 정례화 △지방선거 공천 과정 공정 관리 △시당위원장-공천관리위원장 분리를 통한 조정자 역할 △대구시당 차원의 교육연수원 신설 △청년정치학교 상설화 등을 제시했다.
그는 또 중앙당이 대선 백서를 만들지 않을 경우, 대구시당이 나서 대선 백서를 만들고 대선 패배와 관련된 반성문을 쓰겠다고 했다.
이 의원도 이날 국힘 대구시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당 위원장은) 개인 권력 의지를 실현하기 위한 자리가 아니라 대구의 보수 정치가 제자리를 찾고, 국힘이 진정한 국민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한 책임과 헌신의 자리”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시당위원장 논의 과정에서도 저 뿐 아니라 권영진 의원 또한 '지역 국회의원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명확히 밝혔으나, 입장을 뒤집고 일방적으로 출마를 강행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권 의원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권 의원 출마는 당내 신뢰를 훼손하고, 결과적으로 대구시당의 혼란과 분열을 자초하고 있는 것”이라며, “권 의원이 다시 전면에 나서는 것은 대구의 미래를 위한 정치가 아니라 과거로의 회귀”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공약으로 당원정책협의회 및 지역정책전략회의 운영, TK(대구·경북) 공동현안 협의회 설치, 대구정책 라운드테이블 정례화 등을 제시했다.